1. 이 책의 줄거리를 살펴보아요.
「없는 살림일수록」에서는 껌을 달력이나 벽에 붙여놓고 몇 번이나 씹던 이야기가, 「동무 동무」에서는 부모님 드리려고 쿡쿡 호미로 냉이를 캐는 소녀들의 이야기가, 「감자꽃」에서는 행여 감자에 상처를 낼까 조심조심 캐던 배고픈 시절의 이야기가, 「서울 가는 버스」에서는 모처럼 타 본 기차가 신기해 마냥 즐거워하는 아이의 이야기가, 「기다리던 비 1」에서는 단비를 고마워하는 농부들의 이야기가, 「개울에서」는 다듬이질로 속을 가라앉히던 어머니들의 이야기가, 「정자나무」에서는 정자나무 아래 모인 정겨운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가, 「땅감 나무」에서는 땅감을 먹으며 도란도란 정을 나누는 가족의 이야기가, 「옥수수」에서는 옥수수를 먹으며 참외 원두막을 지키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박 농사 호박 농사」에서는 아기를 낳은 딸에게 호박에 꿀을 넣어 다려 주는 친정어머니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ㅅ동시들은 봄과 여름의 이야기들이다.
「떠나보고야」에서는 가족을 위해 서울 공장에 취직한 숙희의 애달픈 이야기가, 「고개 숙이고 오니까」에서는 부모님이 안 계시지만 할머니와 꿋꿋하게 살아가는 흥수의 이야기가, 「살찌는 벼」에서는 온 가족이 힘을 합쳐 추수를 하며 행복해하는 이야기가, 「김장밭」에서는 김장을 나누는 은아와 진구네의 이야기가 가을철 이야기로 펼쳐진다.
「춥긴 머 추워」에서는 날씨가 추워도 밖에서 용감하게 뛰어노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하얀 눈」에서는 하얀 눈으로 가래떡을 만들어 나눠먹고 싶은 길예의 이야기로 겨울 이야기이다.
2.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이 책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해 보아요. 독해력을 키워주는 질문이에요.
*권태응 선생님에 대해 알아보아요.
*일제강점기 어린이들은 왜 껌을 달력이나 벽에 붙여놓고 몇 번이나 씹었을까요?
*권태응의 「감자꽃」은 어떤 의미를 시로 표현한 것일까요?
*땅감이란 무엇인가요?
*「박 농사 호박 농사」에서 어머니의 소망은 무엇이었나요?
* 「떠나보고야」에서 숙희는 왜 서울 가방공장으로 떠났나요?
*옛날 어린이들의 놀이를 알아보아요?
3. 이 작품의 의미를 생각해 보아요.
일제강점기의 흔적을 고스란히 느끼게 하는 동시와 그 시절의 이야기
자주 꽃 핀 건, 자주 감자/ 파 보나 마나, 자주 감자.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
일제강점기 문학가이자 독립운동가였던 권태응의 동시 「감자꽃」 전문이다. 권태응은 1918년 충주에서 태어나 충주공립보통학교와 경성제일고보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 재학 중 항일비밀결사 활동으로 1939년 투옥돼 옥고를 치른다. 폐결핵으로 이듬해 풀려났으나, 병이 악화되어 한국전쟁 기간인 1951년, 만 33세로 생을 마감한다. 동시 「감자꽃」은 일제의 창씨개명에 반항하는 동시로,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꾼다 해도 우리 민족의 정체성은 결코 바꿀 수 없다는 것을 비유로 말한다.
이 책은 권태응의 동시 16편에 김경구 작가가 이야기를 덧붙인 것이다. 초등학생 진우가 권태응 동시를 한 편 읽으면, 할머니가 그 동시와 관련된 예전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권태응 동시는 토속적인 내용을 소재로 쓴 데다, 거의 100년에 가까운 이전 시대의 이야기여서 어린이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와 함께 읽으면 시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100년 전 어린이들이 살던 마을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동시와 함께 이야기를 읽다 보면 그 시대 사람들이 얼마나 고생하면 살았는지 알게 되어 가슴 한편이 아파온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라는 암울했던 그 시절에도 가족과 친구, 이웃의 사랑은 더욱 끈끈한 정으로 뭉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정을 어찌 일본이 끊어놓을 수 있겠는가? 우리 민족은 그 어떤 상황에도 그저 우리 민족일 뿐이라는 애국심과 자긍심이 가득 담긴 이야기들이 독자들을 감동케 한다. 게다가 동시를 당시의 맞춤법 그대로 옮겨 와, 더욱더 시대의 흔적을 느끼게 한다.
4. 이 책을 쓰신 작가 선생님에 대해 알아보아요.
동시 권태응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1918년 충주 칠금동에서 태어나 한학자인 할아버지에게 한문을 배웠다. 토속적인 내용을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썼으며, 특히 어린이들에게 깊은 애정을 갖고 있었다. 1939년 5월, 항일운동 혐의로 스가모형무소에 투옥되었다가 폐결핵으로 판정받아 1940년 6월 출옥하였다. 귀국하여 치료를 받던 중 병세가 악화되어 1951년 3월에 별세했다. 아홉 권의 육필 동시집을 남겼는데, 「감자꽃」은 그의 대표작이다. 1968년 5월에 충주시 탄금대 내에, 1991년 3월에 충주 교현 초등학교에 「감자꽃」 노래비가 세워졌다. 2005년, 항일운동의 공훈이 인정되어 대통령 표창이 추서 되었다.
동화 김경구
1998년 충청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가, 2009년 사이버중랑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라디오 구성 작가, 동요 작사가로 활동하면서 신문에 글도 연재한다.
지은 책으로는 청소년 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