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이 된 연어』 논술자료
조회 : 75  

1. 이 책의 줄거리를 살펴보자.

숲의 나무들이 연곡천을 내려다보고 있을 때, 알에서 하나둘 연어가 깨어났다. 가문비나무가 그중 하나에게 은빛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며 자기가 엄마라고 말한다. 엄마 없이 홀로 태어났다고 여기는 은빛이는 고개를 갸우뚱거린다.
다른 연어도 이름을 하나씩 갖는다. 핑크, 하늘이, 모래, 시내, 밝음이……. 숲은 새끼 연어들을 품어 주고, 나뭇잎과 잔가지를 떨어뜨려 준다. 플랑크톤은 그것을 먹고 나중에 새끼 연어의 먹이가 된다.
어느 정도 자란 연어들이 찬 기운을 찾아서 연곡천을 떠난다. 강의 끝자락에 오두막을 짓고 사는 어부 할아버지가 연어들을 배웅해 준다.
은빛이와 핑크가 새로운 환경을 살피고 있을 때, 산천어와 송어들이 달려들어 친구들을 마구 잡아먹는다. 연어들은 스스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을 깨달으며 바다로 빠져나간다.
연어들은 바다 초입에서 떼 지어 다니는 정어리를 만난다. 하지만 정어리들이 제비갈매기와 갈전갱이에게 순식간에 당하는 것을 보고 두려워한다.
바닷물이 짜서 힘들었지만, 연어들은 잘 적응해 간다. 은빛이는 새우를 잡으려다 실패하자, 목숨을 걸고 도망치는 놈은 잡을 수가 없다며 쓴웃음을 짓는다. 연어들은 가슴속에 두려움 대신 용기를 키운다.
은빛이 무리는 북태평양에서 사리타의 홍연어들, 일본 이마이즈미 강의 왕연어들과 무리를 이룬다. 알래스카에서는 불곰에게 친구를 수없이 잃었지만, 그들은 곱사연어들을 만나 또다시 하나가 된다.
햇살의 평화로움에 잠겨 있을 때, 사람의 작살이 날아든다. 은빛이와 가까웠던 왕연어도 희생된다. 왕연어는 알을 품고 있었다. 그동안 바다에서 몸집을 불렸던 연어들은 또 그렇게 죽어갔다.
알을 낳으려면 알래스카가 살기 좋아도 더 머물 수는 없다. 아쉽게도 왕연어와 홍연어 떼가 무리에서 벗어나 알을 낳기 위해 고향으로 떠났다,
은빛이는 베링해에 도착했는데 먹을 것을 찾을 수가 없었다. 기후 변화로 새우가 씨가 마른 탓이었다. 먹이를 찾지 못하는 쇠부리슴새도 안타깝게 울부짖는다. 그곳에서 연어들은 물수리 떼의 습격을 받아 또 친구들을 잃었다. 이제 곱사연어 무리가 이별을 고하고 고향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은빛이 무리도 고향으로 가기 위해 캄차카반도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은빛이는 동해에 이르자, 고향의 냄새가 강하게 번져오는 것을 느낀다.
연곡천에 들어서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연어의 몸 빛깔이 거무스름하게 변했다. 피부도 차츰 두꺼워지고 눈에 띄지 않도록 불그스름한 점이 온몸에 돋아났다. 수컷 연어는 입이 갈고리처럼 휘어지고 이빨이 날카로워졌으며 등이 둥글게 솟아올랐다.
하지만 연어들은 곧 사람이 쳐 놓은 그물에 갇히고 말았다. 연어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오두막의 할아버지가 찾아와 몰래 그물을 풀어 버린다. 연어들은 재빨리 도망쳐서 폭포를 거슬러 올라간다. 그곳에도 노리는 것이 있다. 은빛이는 갈매기들에게 밝음이와 다른 친구들을 잃는다.
은빛이와 핑크는 알 낳을 장소를 찾아 함께 구덩이를 판다. 핑크는 마지막 힘을 쏟아 알을 낳고 은빛이는 그 위에 정액을 쏟았다. 그러고는 알이 떠내려가지 않도록 자갈을 덮었다.
연곡천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길 원했던 핑크는 은빛이 곁에서 먼저 눈을 감는다. 가문비나무는 자기 안에 은빛이의 엄마가 있다고 말해 준다. 은빛이는 가문비나무가 되고 싶다. 가문비나무는 떠내려가지 않도록, 동물들이 물어가지 못하도록 자신의 발밑에 은빛이를 살포시 감추었다.

2.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이 책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해 보자. 독해력을 키워주는 질문들이다.

가문비나무는 왜 은빛이에게 자기가 엄마라고 말했을까?

숲은 어떻게 새끼 연어들을 키워냈나?

어느 정도 자란 연어들이 연곡천을 떠난 이유는?

은빛이와 핑크가 새로운 환경을 살피고 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나?

은빛이 무리는 북태평양에서 누구를 만났나?

연어는 왜 무리를 이룰까?

은빛이 무리가 알래스카에서 만난 연어는?

바다에서 몸집을 불렸지만 연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나?

알래스카가 살기 좋아도 더 머물 수 없었던 이유는?

연어들은 왜 고향으로 돌아가나?

연곡천에 들어서자, 연어의 몸은 어떻게 바뀌었나? 그리고 바뀐 이유는?

연어는 어떻게 해서 숲이 되나?

그물에 갇힌 연어를 구한 사람은?

3. 이 작품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바다로 나간 은빛이는 고향으로 무사히 돌아올 수 있을까?
서로 도우며 사는 연어와 숲의 이야기
 
민물에서 어미 없이 태어나 먼 바다로 나갔다가 다시 태어난 곳으로 목숨을 걸고 찾아오는 연어들. 죽을힘을 다해 돌아온 연어는 제 어미가 그랬듯 알을 낳고 조용히 생을 마감한다.
산란을 마치고 죽은 연어는 야생 동물의 먹이가 되고, 먹다 남은 부분이나 배설물은 숲의 양분이 된다. 연어를 통해 생명을 얻은 숲은 나뭇잎과 가지를 떨어뜨려 플랑크톤을 키워 낸다. 새끼 연어는 플랑크톤을 먹고 무럭무럭 자라난다. 연어는 숲을 살리고, 숲은 연어를 살려내는 것이다.

나무들이 연곡천을 내려다보고 있을 때, 알에서 하나둘 연어가 깨어난다. 가문비나무는 은빛이에게 자기가 엄마라고 말한다. 홀로 태어났다고 여기는 은빛이는 고개를 갸우뚱거린다.
어느 정도 자란 연어들은 찬 기운을 찾아서 바다로 나간다. 하지만 그곳에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알래스카와 베링해, 캄차카반도, 오호츠크해를 지나면서 연어들은 새로운 친구들과 거대한 무리를 이루면서 어려움을 헤쳐 나간다. 하지만 알을 품게 되자,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뿔뿔이 흩어지는데…. 과연 은빛이는 고향으로 무사히 돌아올 수 있을까?

이 책은 서로 도우며 사는 연어와 숲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제는 연어가 고향에 이르지 못한다. 환경오염인 탓도 있고, 사람들이 회귀하는 연어를 잡아서 인공 수정하고 치어로 키워 방류하기 때문이다.
연어를 돌려보내 주기를 숲이 간절히 바라고 있다는 것을 사람들은 언제쯤 깨닫게 될까? 인간이 자연과 상호 의존적인 공동체라는 사실을 또 언제쯤 뼈저리게 깨닫게 될까?
이 책은 우리 안에서 깊이 잠들어 버린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일깨워 준다. 어린이들이 연어의 이야기를 읽으며 자연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면 좋겠다.

4. 이 책을 쓰신 작가 선생님에 대해 알아보자.

글 김숙분
’86년 『아동문학평론』에서 신인문학상을 받아 문단에 나왔으며,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산의 향기』, 『해님의 마침표』, 『김숙분 동시선집』, 『와글와글 갯벌』 등의 동시집과, 『숲으로 간 고양이』, 『숲이 된 연어』, 『생각을 키우는 탈무드 이야기』, 『어린이를 위한 민주주의 이야기』, 『엄마가 사랑한 콩콩이』, 『크리스마스, 그날 밤에』 등의 동화집, 『바퀴 달린 수박』, 『여우 도둑』, 『얼음장수 여우』 등의 그림책을 펴냈다. 국민일보 신앙시 공모 우수상, 새벗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은하수동시문학상(대상) 등을 수상했고, 2008년엔 한국 동시를 빛낸 동시작가 100인에 선정되었다. 4학년 2학기 국어활동(나)에 동화 「저작권 침해」가 실렸다.

5. 연어는 숲을 키우고, 숲은 연어를 키운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자연을 살리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글로 써 보자.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번호 제목 조회
   독서·논술자료를 다름과 같은 순서로 활용해 보세요. 6164
200    『프로드』논술자료 22
199    『서비스센터 삼신당』 논술자료 50
198    <티니언 섬의 암호> 논술자료 42
197    『숲이 된 연어』 논술자료 76
196    <까유 동생 까미> 논술자료 79
195    『귀신 바이러스의 비밀을 풀어라』 논술자료 80
194    『트리하우스』 논술자료 91
193    『내 친구 에이든』 논술자료 100
192    『양골초등학교 연못단』 논술자료 102
191    『우물 속의 거북이』 논술자료 111
190    『빵점 빵집』 논술자료 120
189    『사막여우 비밀우체국』 논술자료 115
188    『달나라에 도깨비가 산다』 논술자료 143
187    <하이! 할머니!> 논술자료 136
186    『딱지치기 수업』 논술자료 141
185    <쏙쏙 메모지> 논술자료 165
184    『바보 왕 원숭이』 논술자료 333
183    『한국의 역사를 이끈 맞수들의 이야기』 논술자료 327
182    『하느님 병 고치기 대작전』 논술자료 372
181    『이제 아무것도 두렵지 않아』 논술자료 400
 
 
and 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