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흙탕물총 탕탕』, 『마늘각시』, 『궁둥잇바람』, 『우산걸음』 등에 이은 김미영 시인의 새로운 순우리말 동시집이다. 이 시집에는 정겨운 순우리말로 정성껏 빚은 48편의 동시가 담겨 있다. 이 시집에서는 특별히 자연의 아름다움을 순우리말로 빚어낸 동시들이 주제의 중심이 되고 있어 시인의 자연중심적 세계관도 함께 엿볼 수 있다.
오늘도
숲을 뒤적이며
풀벌레들의 말
다람쥐들의 말
나무들의 말 받아쓰는
옆집
시인 아줌만
숲이 말모이래
천연 말모이래
-<말모이> 전문
말모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이다. 주시경, 김두봉, 권덕규, 이규영 등이 1910년 무렵에 조선 광문회에서 편찬하다 편찬자들이 사망하거나 망명하여 끝내지는 못했다. 이 동시에서는 모든 자연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숲을 말모이라고 말한다.
자연에 친화적일 때 관심과 찬미, 그리고 경외감이 뒤따르게 된다. 자연은 귀하고 아름다운 존재이며, 인간의 몸과 마음이 편안히 쉴 수 있는 따듯한 고향이며, 명상 속에서 우주와의 원초적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곳이다. 시인 아줌마가 숲이라는 말모이를 뒤적이는 이유는 가장 정갈한 언어를 찾기 위해서이다. 이로써 숲은 그 일반적인 의미를 넘어서 고귀한 생명력을 얻게 되었다.
바위섬 가슴에 닿자
꽃이 되는
파도
- <메밀꽃>전문
메밀꽃이라면 하얗게 활짝 펴 가을을 느끼게 해 주는 그 꽃을 떠올리게 된다. 그 의미로 생각하고 이 동시를 읽어도 물론 무방하다. 하지만 이 동시에서 메밀꽃은 ‘파도가 일었을 때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을 의미한다. 시인은 바위섬에 부딪히며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를 꽃이라고 했다. 파도의 포말이 순우리말로 메밀꽃이라니, 참 아름답다.
김미영 시인은 이렇듯 변화하고 소멸의 과정을 겪으며 사라진 과거의 언어를 동시로 살려내고 있다. 언어는 본디 변화와 소멸의 과정을 겪는다. 우리 것을 찾아 나선다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자각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 시집을 통해 우리는 시인의 세계관과 함께 조상들이 어떤 언어로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를 소통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차례
제1부 말모이
말모이 | 바람할미 | 갓밝이 | 메주볼 | 헛가게 | 살사리꽃 | 한뉘 | 마늘각시 · 2
땅별 | 햇귀 | 등걸잠 | 짚신할아버지
제2부 거위영장
설밥 | 거위영장 | 솔개그늘 | 다림방 | 풀치 | 언죽번죽 | 색바람 | 물떠러지 |
홍두깨 | 돌알 | 메밀눈
제3부 우멍거지
달거리 · 2 | 우멍거지 | 눈딱부리 | 개발코 | 핏본 | 내림바탕 | 쥐코밥상 | 돌림쟁이 |
누에머리손톱 | 개구멍바지 | 뜨게부부
제4부도깨비뜨물
개미장 | 도깨비뜨물 | 냅뜰성 | 꾹돈 | 메밀꽃 | 가는베 낳겠다 | 방울나무 | 굼뉘 |
장대비 | 사람멀미 | 등글기 | 삿갓구름 | 밤염 | 철록어미
작가 소개
지은이 김미영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아동문예 문학상에 동시가, 2007년 아동문학평론 신인문학상에 동화가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동안 펴낸 동시집으로 『잠자리와 헬리콥터』, 『손수건에게』, 『불량식품 먹은 버스』, 『흙탕물총 탕탕』, 『마늘각시』, 『궁둥잇바람』, 『우산걸음』 등이 있으며, 수원문학상 작품상, 경기시인상, 서덕출문학상을 수상했다. 동시 「그루잠」이 초등학교 5- 2 <국어> 교사용 지도서에 실렸다.
그린이 배도하
어린 시절, 가장 재미있는 놀이는 그림이었다. 그림을 그리다 보니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동시를 쓰다 보니 그림이 떠올랐다. 세계아동미술대전 최우수상, 어린이창작동시대회 입상, 경기예고 조형전 디자인 부문 최우수상 등을 수상하였다. 청소년 시절부터 『꽃을 키우는 너』 등 여러 권의 동아리 시집과 동화집에 삽화를 그렸고, 우리말 동시집 『우산걸음』에 그림을 그렸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꿈을 키우고 있다.